[그래픽 뉴스] 저비용항공사<br /><br />연중 최대 성수기로 꼽히는 여름 휴가철이 다가왔지만 항공업계의 시름은 깊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전 세계 하늘길이 대부분 닫혀있는 상황 속에서 특히 저비용항공사는 직격탄을 맞았습니다.<br /><br />경영위기에 처한 국내 저비용항공사 사장단이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기간을 늘려달라며 국회를 찾아 호소하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오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'저가 항공'으로도 불리는 저비용항공사는 기내식이나 신문, 영화, 음악 등 부가서비스를 제외하고 저렴하게 항공권을 제공하는 항공사를 말하는데요.<br /><br />저비용항공사의 등장으로 상대적으로 싼 가격으로 합리적인 해외여행이 가능해지면서 해외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최초의 저비용항공사인 미국의 사우스웨스트 항공은 기종 단일화와 기내식 미제공, 좌석 등급제 폐지 등을 통해 비용을 줄이고 항공 운임을 낮춰 성공을 거뒀습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에선 지난 2005년 8월, 한성항공이 처음으로 저비용항공사로 취항한 뒤로 티웨이항공으로 상호 변경을 했죠.<br /><br />현재 국내의 저가항공은 제주항공과 진에어 등 모두 6곳.<br /><br />지난해 3곳이 추가로 신규면허를 신청하면서 국내 저비용항공사는 9곳으로 늘어났습니다.<br /><br />저가항공은 그간 무서운 성장세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엔 국제선 좌석점유율 29.4%, 즉 국제선 이용객 3명 중 1명은 저비용항공사를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고 국내선의 경우 좌석 점유율 57.9%로 대형항공사를 추월했습니다.<br /><br />승승장구하던 저비용항공사의 날개가 꺾인 건 코로나19여파가 본격화되면서부터입니다.<br /><br />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2월부터 6월까지 저비용항공사의 국제선 여객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약 90% 감소하면서 모두 적자 전환됐습니다.<br /><br />저비용항공사들은 저수익 노선인 국내선을 늘리고 현금확보를 위해 선불 항공권을 판매하는 등 사활을 걸고 활로 찾기에 나섰지만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국내 첫 항공사 간 기업 결합으로 주목받은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의 인수합병도 결국 무산됐죠.<br /><br />경영악화로 인한 대규모 감원 사태, 이미 미국 항공업계에서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국내서도 이스타항공 파산과 직원 1600명의 무더기 실직 우려가 현실화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, 다른 저비용항공사들의 상황도 어렵긴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현재 저비용항공사들이 유급순환휴직과 근로시간 단축 등을 실시하고 있지만 다음 달 말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이 끊기면 대규모 구조조정 위기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올 가을 코로나19의 2차 유행까지 예상되며 절체절명의 위기에 몰린 항공업계.<br /><br />벼랑 끝에 선 저비용항공사들은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